
어린 시절의 순수한 첫사랑, 부모의 반대, 현실 앞에서의 갈등. 지겨울 만큼 여러 영화와 드라마의 단골 소재이지만 영화 ‘노트북’이 풀어내는 방식은 유달리 아름답다고 느껴졌다. 이 이야기가 실화라서 더 그런걸까.
노아(라이언 고슬링)는 앨리(레이첼 맥아담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대관람차에 뛰어들어 목숨을 걸고 데이트 신청을 하는 노아. 둘은 무모하리 만큼 순수하게 그리고 불처럼 서로에게 빠져든다. 앞뒤 가리지 않고 온전히 서로만 바라보는 사랑이었다.
여름철 풋사랑은 온갖 이유로 끝난다
하지만 결국
모든 풋사랑엔 공통점이 하나 있다
그것들은 별똥별이다
하늘을 눈부시게 밝히는 한순간의 빛이다
찰나의 영원이며
눈 깜짝할 새에 사라진다
노아는 앨리에게 365편의 편지를 썼지만 전달되지 못한다. 그렇게 풋사랑이 끝나고 노아와 앨리는 각자의 시간을 살아간다. 앨리에겐 새로운 사람이 곁에 생기게 되고 결혼을 앞둔 어느 날 운명처럼 노아와 다시 마주친다.
오랜 시간 앨리를 그리워하고 그녀와 약속했던 집을 고쳐나가며 살았던 노아. 그들의 꺼진 불꽃은 다시 타오른다.
최고의 사랑은 영혼을 일깨우고
더 많은 것을 향해 손을 뻗게 해
우리 가슴에 불꽃을 심어주고
우리 마음에 평화를 가져다줘
넌 내게 그런 사랑을 줬어
나도 네게 그런 사랑을
영원히 주고 싶었어
이 이야기가 더 특별한 건 앨리가 쓴 노트북에 담겼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녀가 쓴 사랑 이야기를 할아버지가 된 노아는 다시 그녀에게 읽어준다. 치매에 걸려 더 이상 남편을 알아보지 못하는 아내에게.
함께 요양병원에 지내며 앨리를 보살피는 노아에게 자식들은 이제 그만 집으로 돌아오라고 말하는데, 그 때 노아의 대사가 기억에 남는다.
“네 엄마가 내 집이야”
책을 읽어주었을 때 앨리는 노아를 알아보고 그에게 돌아갔다. 잠시 뿐이었지만. 그리고 거짓말처럼 한날한시에 함께 눈을 감는다.
이런 사랑이 가능할까 싶도록 허구같이 느껴진다. 머두 진짜라는 게 믿겨지지 않을만큼. 자신의 인생을 상대에게 맡기는 사랑이라는 거 자체가 원래 무모한 게 아닐지..
'영화.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꾸로 가는 남자 | 당연하지만 당연하지 않았던 것들에 대하여 (0) | 2020.08.19 |
---|---|
레볼루셔너리 로드 | 의미를 잃어버린 삶의 공허함 (0) | 2020.07.26 |
카페 소사이어티 | 단꿈같이 우아한 막장 (0) | 2020.07.17 |
빅 나이트 | 이탈리안 형제의 아메리칸 드림 (0) | 2020.07.06 |
다즐링 주식회사 | 엉뚱한 삼형제의 인도 기차 여행 (0) | 2020.07.06 |
댓글